리뷰어 소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평가...는 아니고, 지극히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평가를 합니다.
평가점수는 5점 만점의 5단계로 매깁니다.

1~5의 중앙값은 3입니다. (2.5가 아닙니다)
평점이 3보다 높으면 대체로 추천작.
평점이 3보다 낮으면 썩 만족스럽지 않았다는 의미.


내용이야 어쨌건 작화 퀄리티만 좋으면 챙겨보는 작화충 리뷰어. 야애니 뿐 아니라 작화가 허접한 애니메이션은 존재가치가 없다고 여긴다. 원화의 명암채색 단계, 그림체의 안정성, 연출 구도, 퍼싱을 비롯해서 애니메이션의 동세, 컷 배분, 액팅(움직임이 자연스러운가/역동적인가) 등을 중점적으로 본다. 그림체의 개성보다는 화력과 움직임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역동적인 장면의 원화 뭉개짐은 작화붕괴가 아니라 오히려 고급 연출 테크닉으로 여긴다.

" 그림실력의 척도가 양배추라는 건 학계의 정설."

성우충이자 설명충 리뷰어. 얼마나 짬밥많은 성우를 기용했는가, 성우의 연기력 수준은 어떠한가, 캐릭터에 잘 매칭되는가 등으로 평가한다. 특히 일반성우가 가명으로 참여한 18금 작품에 관심을 갖고 집요하게 추적한다. 카와카미 토모코, M·A·O, 타네자키 아츠미 등 다채로운 톤의 보이스로 다양한 배역을 소화해내는 성우를 특히 더 높이 평가한다.

" 성우감별 초급 : 코오로기 사토미 / 카나이 미카, 중급 : 노토 마미코 / 하야미 사오리. "

파생작품보다 원작의 가치가 훨씬 높다고 여기는 원리주의/근본주의의 원작충 리뷰어. 원작을 재해석한 부분이나 변경,추가,삭제된 부분이 원작훼손인가 원작초월인가 등으로 평가한다. 원작 그대로 충실히 재현했는가의 여부는 크게 따지지 않는 편이다.
원작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 오리지널 애니를 좀더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 명작이란 원점이 곧 정점이다. "

모에 요소와 그림체 취향을 따지는 설정충 리뷰어. 처녀충/로리콘/마망/초식남/순애파/중2병. 취향에 직격하면 갓명작, 취향에서 벗어나면 똥망작으로 취급한다. 아헤가오, 바큠펠라 등 미소녀의 귀여움을 망가뜨리는 연출을 혐오한다. 캐릭터의 귀여움과 직결되는 설정과 내러티브를 중시한다.

" Fate는 문학이고, Air는 예술이며, CLANNAD는 인생. "

얼마나 야한가, 얼마나 딸감으로 쓰기에 적합한가를 최고 지상과제로 여기는 뽕빨충 리뷰어. H씬이 꼴리지 않는 야애니는 존재가치가 없다고 여긴다. 취향의 수비범위가 매우 넓으며, 거의 모든 장르의 에로 컨텐츠를 소화해내며, 에로분야에 다방면의 지식을 보유한 대현자(=동정).

" 나는 변태가 아니다. 설령 변태라 하더라도 변태라는 이름의 신사다!